기타 36

황하 수질 상태

황하는 2011년 기준 43개 국가중점모니터링 지점 중 1~3급, 4~5급, 5 급 미만인 면적이 각각 69.8%, 11.6%, 18.6%로, 현재 경도오염상태이다. 주요 오염인자는 암모니아질소, COD, BOD이다. 황하 본류의 수질은 21 개 모니터링 지점이 모두 1~3급에 속하여 양호하나, 지류의 수질은 전체 적으로 중(中)도 오염상태로, 22개 국가중점모니터링 지점 중 1~3급 면 적이 40.9%, 4~5급 면적이 22.7%, 5급 미만 면적은 36.4%이다. 지역경계 하천 역시 전체적으로 중(中)도 오염상태로, 11개 모니터링 지점 중 1~3급,5급, 5급 미만 면적이 각각 63.6%, 9.1% 27.3%이다.14) ③ 주강 33개 국가중점모티터링 지점 중 수질급수 1~3급 면적이 84.8%로 ..

기타 2022.06.22

하천별 수자원 이용현황

7대 하천의 수자원 보유 현황을 보면 창강>주강>쑹화강>후이하>랴오 하>황하>하이하 순으로 수자원량이 많다. 창강은 2010년 연평균 강수량 1,160.4mm, 연간 강수총량 2조 600여 억m³, 지표수자원량 1조 1,140여 억 m³, 지하수자원량 2,600여 억m³로 전체 수자원총량이 11,264억m³에 달한 다. 이는 중국 전체 수자원량(30,906.4억m³)의 36%이다. 창강 다음으로 많 은 수자원을 보유한 하천은 주강으로 2010년 강수총량이 9,377억m³, 수자 원총량은 4,936억m³이다. 황하와 하이하는 가장 적은 수자원을 보유하고 있는 하천으로 각각 679억m³, 207억m³의 수자원을 보유하고 있으며, 연간 강수총량도 가장 적다.9) 하지만 황하의 경우 면적대비 보유 수자원량이 극..

기타 2022.06.22

중국 수자원 현황

중국의 연평균 강수량은 627mm로 세계 평균의 약 4/5수준이며, 수자원 총량은 3조 906억m³나 1인당 수자원량은 2,130m³로 세계 1인당 이용 가능 한 수자원량 평균의 1/4에 불과한 수준으로 대표적인 물부족 국가 중 하 나이다(그림 2-1 참조). 또한 중국은 일본, 미국, 영국 등과 함께 하천 취 수율이 10~20% 이하인 국가에 속해 물 스트레스 중(中)에 해당하는 것 으로 나타났다 중국은 지역간 수자원분포가 불균형한 상태로, 남부와 동부지역은 수 자원이 풍부한 반면 북부와 서부지역은 수자원이 부족하다(그림 2-2 참 조). 남부지역의 하천 유량과 수자원 총량은 지난 20년 간 약 5% 가량 증 가한 반면 북부지역의 수자원 총량의 감소가 뚜렷하게 나타나고 있다. 특 히 북부지역은 중국 인..

기타 2022.06.22

연구 목적

이상의 연구배경에 기초하여 본 연구에서는 중국의 하천 환경 관리 현 황, 관리정책, 그리고 향후 계획을 분석하고 하천환경 관리 정책과 기술 에 대한 한 중 비교를 통해 중국의 하천환경 관리에 대한 한 중 양국의 협력수요를 도출하여 양국 간의 중국 하천환경 관리 협력방안을 모색하 는 것을 연구의 목적으로 삼는다. 중국의 하천환경 관리 현황과 관련된 연구는 중국의 전반적인 물환경 (수자원)에 관하여 각각의 연구를 수행한 경우가 대다수로, 하천환경에 대한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이승호(2005)는 중국의 전반적인 물관리 현황을 파악하는데 중점을 두고 있으며 급수, 수질오염관리, 홍수예방 등 에 대한 중국의 주요 정책과 성과사례를 소개하고 있다. 추장민 외(2011) 은 중국의 주요 도시를 대상으로 상 하수 ..

기타 2022.06.22

연구 배경 및 필요성

가. 연구 배경 및 필요성 수자원과 수질관리 이슈가 중요해지면서 유엔은 2000년 새천년정상회 의에서 지속가능한 환경을 확보하기 위해 안전한 식수와 위생 서비스 접 근 제고를 포함하는 새천년 개발 목표를 채택하여 세계적 관심을 환기시 켰다. 그리고 유엔은 2015년까지 해당 목표 달성을 위해 지속적인 모니터 링을 하고 있다. 한편 2008년 개최한 세계경제포럼(World Economic Forum)에서도 물은 중요한 의제로 등장하는 등 세계 경제계에서도 수자 원 확보에 대한 높은 관심을 보여주고 있다. 2007년 발표된 ‘기후변화에 관한 정부간 협의체(IPCC)’ 종합보고서에 따르면, 지구의 평균 온도의 상승, 해수온도의 상승, 눈과 얼음 범위의 감 소, 지구 평균 해수면의 상승 등은 기후 온난화를 입증..

기타 2022.06.22

중국의 물관리 정책 강화

□ 중국의 물관리 정책 강화에 대응한 한‧중 협력방안 모색 필요 전 세계적으로 기후변화에 따른 자연 재해의 증가로 인해 물관리의 중요 성이 강조되고 있다. 중국 역시 가뭄과 폭우 등 자연재해로 매년 막대한 인명 피해와 경제손실을 입고 있다. 이에, 중국은 2011년 중앙 1호 문건으로 ‘수리 개혁 발전 가속화에 관한 중국 공산당 국무원 결정’을 발표하여 물관리의 중 요성을 인식하고 이번 ‘12차 5개년 계획’에서도 수자원 확보, 수질관리 정책 및 기준을 지난 계획기간에 비해 더욱 강화하였다. 이러한 중국의 물관리 강화 노력은 세계 물관리 기업의 중국 시장 진출 기 회 확대를 동반할 것으로 예상된다. 중국의 물관리 정책에 대응하여 우리 정 부와 기업의 중국 물관리 시장 진출 활성화를 위한 한 중 협력방안과..

기타 2022.06.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