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타

기후변화로 인한 자연재해

여행먹방러 준표 2022. 6. 22. 22:50
반응형

기온상승과 강우불균형 등의 기후변화에 의해 홍수, 가뭄, 폭염 등의 수문기상 재해의 급증은 전 세계적으로 나타나고 있는 현상이다. 세계 수 문기상 재해는 1950년대 10년 동안 232회가 발생하였으나, 2000년 이후부 터 2006년까지 6년 사이에 2,135회로 급증하였다.35) 중국 역시 빈번한 홍 수, 가뭄 등 자연재해로 인해 경제, 인명피해가 급증하고 있다. 이러한 자연재해는 앞서 살펴본 지역에 따른 기후변화의 차이에 따라 창강 유역에는 홍수 가 빈번하고 북방지역은 심각한 가뭄이 나타나고 있다. 상기에서 중국의 강수량 변화추이는 뚜렷하지 않으나 지역적 강수불 균형에 따라 창강 유역의 강수량은 점차 증가하고 있고 화북지역의 강수 량은 감소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강우일수도 창강 유역은 증가하고 있 는 반면 북방지역은 감소하고 있음을 [그림 2-10]에서 확인할 수 있었다. 이에 따라 창강 중하류 지역 등 남부지방은 홍수피해가 빈번한 반면 북부지 역은 가뭄이 심각하게 나타나고 있다.36) 특히 창강, 후이하 유역은 1970년 대 이후 강수량의 증가로 홍수재해가 발생하고 있는 반면 황하 유역은 1965 년부터 가뭄이 이어져 점차 심각성을 더하고 있다.37) 유역별 홍수 및 가뭄재 해는 뒤에서 보다 자세히 다루도록 하겠다. 홍수피해로 인한 경제적 손실과 인명피해 현황을 보면, 그 피해규모가 1950년대에 비해 크게 증가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아래 <표 2-7>과 같 이 1950년 655만 9천 ha에 불과하던 홍수피해면적은 2010년 약 1,786만 ha로 확대되었으며, 인명피해(사망인구수) 역시 1,982명에서 3,200여 명으 로 증가하였다. 특히 2010년은 5~8월 사이에 남부지역에 집중된 폭우로 인하여 홍수피해가 발생하였고 이로 인해 약 3,200여명이 사망하고 1,000 여명이 실종되었으며 직접 경제적 손실액만 3,745.43억 위안에 달하는 등 유독 피해가 큰 한해였다.38) 지역별로는 쓰촨(四川)성, 장시(江西)성, 후베이(湖北)성, 후난(湖南)성, 허난(河南)성 등 남부지역에 피해가 집중되었 다.39) 강우 편중현상과 기온상승으로 인해 가뭄피해 역시 확대되고 있는데, 1950~2000년간 북부 주요 농업지역의 피해 범위와 강도가 확대되고 있 다. 특히 화북, 화동북부지역의 가뭄면적 확대추이가 가속화되고 있다. 베이징(北京), 톈진(天津) 등을 포함하는 화북지역의 다년 평균 강수량은 602.7mm로 1961~1970년의 평균강수량 640.7mm에서 1991~2000년 의 평균 강수량은 569.4mm로 감소하였다.40) 가뭄피해면적 또한 증가하고 있는 추이로 매년 530만km²에 해당하는 경작지가 가뭄피해를 입고 있으며, 2000년 이후에는 평균 가뭄피해면적이 670만km²로 확대되었다. 이러한 가뭄피해는 직접적으로 농작물 재배에 영향을 미쳐 중국의 식량안보에 부정적 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 2010년 중국 전역의 가뭄피해로 인한 식량 손실량만 168.48억kg으로 1990년 대비 피해면적이 30% 증가하였다(표 2-8 참조).나. 기후변화와 하천환경 1) 주요 하천 유역의 기온상승 중국 7대 하천 유역의 평균 지표면 기온 역시 중국의 기온상승 추이와 마찬가지로 상승추이를 보이고 있다. 연평균 기온 상승이 가장 뚜렷한 유 역은 쑹화강 유역, 하이하 유역, 랴오하 유역이며, 기온 상승이 가장 낮은 유역은 창강 유역과 주강 유역이다(표 2-9 참조).계절별 기온변화 추이를 보면, 겨울철의 쑹화강, 하이하, 랴오하 유역, 그리고 봄철 쑹화강 유역의 기온 평균상승폭이 0.5℃/10a이상으로 나타났 다.41) 반면 봄, 여름, 가을철의 기온 상승폭은 크지 않은데, 창강, 후이하 유 역의 경우 여름철 기온상승폭이 작고 주강, 창강 및 랴오하 유역은 가을철 평 균기온 상승추이가 뚜렷하지 않다.

반응형

'기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중국 하천 환경 현황  (0) 2022.06.23
하천의 수분 감소  (0) 2022.06.22
중국의 기후변화와 하천환경  (0) 2022.06.22
황하 수질 상태  (0) 2022.06.22
하천별 수자원 이용현황  (0) 2022.06.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