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타

하천의 수분 감소

여행먹방러 준표 2022. 6. 22. 23:51
반응형

유역과 후이하 유역의 기온이 1기보다 2기에 보다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 다.42) 특히 쑹화강 유역과 랴오하 유역의 기온은 2기 동안 1기에 비해 0. 8~1.6℃ 상승하였으며 창강 유역과 주강 유역의 기온은 0.4℃ 상승하였다. 여름철에는 중국 동부지역의 기온이 다소 하락하여 쑹화강 유역, 랴오하 유역 과 하이하 유역의 기온이 2기에 1기보다 0.4℃~0.8℃ 하락하였다. 겨울철 에는 기온상승이 보다 크게 나타나고 있으며, 후이하 유역은 0.5~1.5℃ 상 승하고 쑹화강 유역은 1.5~2.5℃ 상승하였다. 분석에 활용한 기온변화 자료는 중국 국가기준기후측정소와 기본기상 측정소 자료로, 대부분의 측정소가 도시지역에 구축되어 있어 도시화 및 도시열섬현상 등으로 인한 지표면 온도상승이 측정소의 기온측정에 직접 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해당 연구에서 분석된 유역별 기 온상승추이는 측정소의 위치상 도시화에 따른 지표면온도상승 등 기온측 정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를 제외하지 못하였다는 한계가 존재한다. 만약 도시화에 따른 근거리 지표면온도의 상승 요소를 제외한다면, 1961~2000 년 간 화북지역의 하천 평균기온 상승폭은 보다 하락할 것으로 예상된다.수분 감소의 주요 요인으로는 기온상승에 따른 지표수의 증발량 증가, 강 수량의 감소, 유출량의 증가 등이 있다.43)먼저 任國玉 外(2007)의 7대 하천 증발량 변화 추이 분석 결과, 일부 하 천의 경우 증발량의 감소가 확인되었으나 기온상승에 따른 지표수 증발 량 증가의 상관관계가 나타나지 않았다. 유역별 다년간 평균 증발량에서 알 수 있듯이 하이하 유역의 연평균 증발량이 1,780.7mm로 가장 많고, 쑹 화강 유역의 증발량이 1,324.7mm로 가장 적다. 하이하 유역과는 약 456mm 차이가 난다. 창강 유역의 증발량도 1,405.4mm로 적은 편이며, 나 머지 유역 또한 증발량이 1,600~1,780mm 사이를 보이고 있다(표 2-11 참 조). 계절적으로는 대부분의 유역이 여름철 증발량이 가장 많으며, 봄, 가 을, 겨울 순이다. 단, 주강의 경우 가을보다 봄철의 증발량이 더 많은 것 으로 나타났다. 증발량의 변화 추이를 보면 창강, 하이하, 후이하, 주강 유역의 연평균 증 발량이 감소추이를 보이고 있다(표 2-12 참조). 특히 하이하와 후이하 유역 은 그 감소율이 50mm/10a 이상이다. 황하와 랴오하 유역의 연간 증발량 또 한 감소하고 있으나 그 변화율이 크지 않다. 쑹화강 유역의 연간 증발량의 변 화추이에서도 큰 변화가 나타나지 않고 있다. 계절적으로는 겨울철에 쑹화강과 랴오하 유역의 증발량이 증가하였으며, 가을철에 쑹화강의 증발량이 다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제외한 나머지 계절과 하천의 증발량은 195 6~2000년간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일반적으로 기온상승과 증발량의 증가는 상관관계를 나타낸다. 하지 만 중국의 기온과 증발량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평균기온 상승에 의한 증발량 증가의 상관관계가 성립하지 않았다. 1956년 이후 유역별 지표면 기온은 상승한 반면, 증발량은 감소추이를 보이고 있다. 이에 따라 지표면 기온상승이 중국 하천의 증발량 변화에 미치는 영향은 미미하다고 할 수 있다.44) 한편 강수량의 감소를 보이는 하천은 쑹화강, 랴오하, 하이하, 후이하, 황 하 유역이다(그림 2-13 참조).45) 쑹화강 유역은 1950년 대 중후반부터 1960년대 초반까지 강수량이 많 은 편에 속하였으나, 1980년대 중반부터 강수량이 감소하기 시작하였다. 1990년대 말 소폭 증가하였으나 1998년 이후 다시 감소하였다. 1956~ 2002년 동안 연평균 강수량의 변화추이를 살펴본 결과, 1960년대 중후반 부터 1980년대 초까지 강수량이 뚜렷하게 감소하였으며 그 이외 시기에 는 변화가 뚜렷하지 않다. 랴오하 유역 또한 봄철을 제외한 나머지 계절 과 연평균 강수량이 감소추이를 보이고 있다. 1980년대 중반부터 1990년 대 말까지 다른 시기에 비해 비교적 많은 강수량을 보여주고 있으나 그

반응형

'기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창강 유역 수계도  (0) 2022.06.23
중국 하천 환경 현황  (0) 2022.06.23
기후변화로 인한 자연재해  (0) 2022.06.22
중국의 기후변화와 하천환경  (0) 2022.06.22
황하 수질 상태  (0) 2022.06.22